슬림 하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림 하포는 미국의 블루스 음악가로, 1924년 루이지애나주 롭델에서 태어나 1970년 사망했다. 지미 리드의 영향을 받아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1957년 엑셀로 레코드에서 "I'm a King Bee"를 발표하며 데뷔했다. 1961년 "Rainin' in My Heart"가 빌보드 R&B 차트 17위에 오르며 인기를 얻었고, 1966년에는 "Baby Scratch My Back"이 R&B 차트 1위를 기록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록 음악 팬들에게도 다가갔으며, 롤링 스톤스, 야드버즈 등 많은 록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블루스 하모니카 연주자 - 폴 버터필드
폴 버터필드는 시카고 블루스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미국의 블루스 하모니카 연주자이자 가수, 싱어송라이터로서,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를 이끌었으며 밥 딜런의 첫 일렉트릭 공연 백업 밴드로도 활동했고 블루스 명예의 전당과 록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블루스 하모니카 연주자 - 하울링 울프
미시시피주 출신 블루스 음악가 하울링 울프(체스터 아서 버넷)는 가난한 어린 시절과 군 복무 후 체스 레코드와 계약, 허버트 설린과의 협업으로 시카고 블루스 전성기를 이끌며 영국 록 뮤지션에게 영향을 주었고 사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블루스 음악가 - B.B. 킹
블루스의 왕으로 불리는 B.B. 킹은 미시시피 출신의 블루스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로, 멤피스 디스크자키 활동을 통해 음악 경력을 쌓았으며, 독특한 기타 연주와 소울풀한 보컬로 블루스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블루스 음악가 - 미시시피 존 허트
미시시피 존 허트는 1893년 미시시피에서 태어나 기타를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고, 1928년 녹음 후 상업적 실패로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1963년 재발견되어 활동하며 블루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블루스 기타 연주자 - B.B. 킹
블루스의 왕으로 불리는 B.B. 킹은 미시시피 출신의 블루스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로, 멤피스 디스크자키 활동을 통해 음악 경력을 쌓았으며, 독특한 기타 연주와 소울풀한 보컬로 블루스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블루스 기타 연주자 - 미시시피 존 허트
미시시피 존 허트는 1893년 미시시피에서 태어나 기타를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고, 1928년 녹음 후 상업적 실패로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1963년 재발견되어 활동하며 블루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슬림 하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본명 | 제임스 아이작 무어 |
| 별칭 | 슬림 하포 |
| 출생일 | 1924년 2월 11일 |
| 출생지 | 루이지애나주 로브델, 미국 |
| 사망일 | 1970년 1월 31일 (45세) |
| 사망지 | 배턴루지, 루이지애나주, 미국 |
| 직업 | 음악가 |
| 활동 연도 | 1950년 ~ 1970년 (추정) |
| 악기 | 하모니카 기타 보컬 |
| 장르 | 블루스 스왐프 블루스 |
| 레이블 | 엑셀로 스테이트사이드 |
2. 생애와 경력
무어는 루이지애나주 롭델에서 가족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4]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반에 뉴올리언스에서 부두 노동자 및 건설 노동자로 일했다.[4] 18세 때, 집을 나와 뉴올리언스에서 항만 작업원으로 일했지만 곧 고향으로 돌아와 지역에서는 건설 작업원으로 일했다.[14]
지미 리드의 스타일에 영향을 받아, 그는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이름으로 배턴루지 바에서 공연을 시작했으며, 처남인 라이트닝 슬림과 함께 라이브 공연을 했다.[2][3][5][6] 한편, 지욱 조인트나 클럽, 길거리에서 연주 활동도 펼치며,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예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4] 1955년, 엑셀로 레코드의 아티스트였던 라이트닝 슬림이 같은 레이블의 레코드 프로듀서 제이 밀러에게 그를 소개하여, 라이트닝 슬림의 사이드맨으로 레코딩에 참여하게 되었다.[12]
1957년 3월, A&R 담당자이자 음반 프로듀서인 J. D. "제이" 밀러와 함께 루이지애나주 크로울리에서 녹음 경력을 시작했다.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다른 연주자와의 차별화를 위해 아내의 제안을 받아 슬림 하포라는 이름을 채택했다.[7] 레코드 데뷔에 즈음하여,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아티스트가 이미 캘리포니아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밀러로부터 듣고, 예명을 ''슬림 하포''로 변경했는데, 이는 그의 아내 라벨의 아이디어로,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이름을 본뜬 것이었다.[12] 테네시주 내슈빌에 본사를 둔 엑셀로 레코드에서 발매된 그의 첫 솔로 음반은 "I'm a King Bee"였으며, 1957년에는 "I Got Love If You Want It"과 커플링되었다. 하포는 라이브 쇼에서는 기타를 연주했지만, 녹음할 때는 보통 다른 기타리스트를 사용했다. 이 음반은 지역적으로 히트를 쳤지만, 전국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다.[5] 같은 해, 데뷔 싱글 "Got Love If You Want It"을 발매했다.[15]
1961년 초, 첫 차트 히트곡인 "Rainin' in My Heart"를 냈다. 이 음반은 ''빌보드''의 R&B 차트에서 17위, 핫 100에서 34위에 올랐으며,[8] 곧 같은 이름의 앨범과 추가 싱글이 이어졌다. 그의 많은 노래는 아내인 러벨 무어와 공동 작곡했지만, 그녀는 크레딧을 받지 못했다.[6][7]
전업 음악가는 아니었던 하포는 1960년대에 트럭 운송 사업을 소유했다.[6] 작가 라이언 휘티에 따르면, "하포와 그의 밴드는 끊임없이 투어를 하고 가능한 한 많이 연주해야 했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시기가 많았고, 그들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는 것을 모아야 했다."라고 한다.[3] 1964년까지 그의 노래 중 몇 곡이 영국에서 앨범과 싱글로 발매되었고, 영국의 록 밴드들은 그의 노래 버전을 초기 레퍼토리에 포함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머지비트/R&B 그룹인 더 무디 블루스는 슬림의 "Moody Blues"라는 연주곡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6]
1966년에는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는데, 주로 기악곡인 "Baby Scratch My Back"이 R&B 차트에서 1위, 더 넓은 차트에서 16위에 올랐다. 하포는 그것을 "나를 위한 록앤롤 시도"라고 묘사했으며, 밀러가 다시 프로듀싱을 맡았다.[15] 그러나 밀러와의 의견 불일치와 음반 회사의 소유권 변경으로 인해 "Tip On In"과 "Tee-Ni-Nee-Ni-Nu" 두 곡이 새로운 프로듀서 로버트 홈즈와 함께 내슈빌에서 녹음되었다.[5] 두 곡 모두 R&B 차트에 올랐다.[8]
그는 1968년에 라이트닝 슬림을 투어 밴드에 합류시켰고,[5] 1960년대 후반에 광범위하게 투어를 다니며 주로 록 관객에게 다가갔다. 1970년, 갑작스러운 심장 마비로 배턴루지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그는 이미 유럽 투어와 녹음 세션을 계획한 상태였다.[17] 그는 루이지애나주 포트앨런에 있는 멀라토 벤드 묘지에 묻혔다.[16]
2. 1. 초기 생애 (1924-1956)
무어는 루이지애나주 롭델에서 가족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4] 1924년, 배턴루지 근교의 작은 마을인 로브델에서 태어났으며 소년 시절에는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블루스를 들으며 하모니카를 연주하기 시작했고, 이때 가장 좋아했던 아이돌은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이었다.[14]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반에 뉴올리언스에서 부두 노동자 및 건설 노동자로 일했다.[4] 18세 때, 집을 나와 뉴올리언스에서 항만 작업원으로 일했지만 곧 고향으로 돌아와 지역에서는 건설 작업원으로 일했다.[14]지미 리드의 스타일에 영향을 받아, 그는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이름으로 배턴루지 바에서 공연을 시작했으며, 처남인 라이트닝 슬림과 함께 라이브 공연을 했다.[2][3][5][6] 한편, 지욱 조인트나 클럽, 길거리에서 연주 활동도 펼치며,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예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4] 1955년, 엑셀로 레코드의 아티스트였던 라이트닝 슬림이 같은 레이블의 레코드 프로듀서 제이 밀러에게 그를 소개하여, 라이트닝 슬림의 사이드맨으로 레코딩에 참여하게 되었다.[12]
그는 1957년 3월에 A&R 담당자이자 음반 프로듀서인 J. D. "제이" 밀러와 함께 루이지애나주 크로울리에서 녹음 경력을 시작했다.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다른 연주자와의 차별화를 위해 그는 아내의 제안을 받아 슬림 하포라는 이름을 채택했다.[7] 레코드 데뷔에 즈음하여,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아티스트가 이미 캘리포니아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밀러로부터 듣고, 예명을 ''슬림 하포''로 변경했는데, 이는 그의 아내 라벨의 아이디어로,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이름을 본뜬 것이었다.[12] 테네시주 내슈빌에 본사를 둔 엑셀로 레코드에서 발매된 그의 첫 솔로 음반은 "I'm a King Bee"였으며, 1957년에는 "I Got Love If You Want It"과 커플링되었다. 하포는 라이브 쇼에서 기타를 연주했지만, 녹음할 때는 보통 다른 기타리스트를 사용했다. 이 음반은 지역적으로 히트를 쳤지만, 전국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다.[5] 같은 해, 데뷔 싱글 "Got Love If You Want It"을 발매했다.[15]
2. 2. 데뷔와 엑셀로 레코드 시절 (1957-1970)
무어는 루이지애나주 롭델에서 가족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4]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반에 뉴올리언스에서 부두 노동자 및 건설 노동자로 일했다.[14] 지미 리드의 스타일에 영향을 받아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이름으로 배턴루지 바에서 공연하기 시작했으며, 처남인 라이트닝 슬림과 함께 라이브 공연을 했다.[2][3][5][6]1957년 3월, A&R 담당자이자 음반 프로듀서인 J. D. "제이" 밀러와 함께 루이지애나주 크로울리에서 녹음 경력을 시작했다. 하모니카 슬림이라는 다른 연주자와의 차별화를 위해 아내의 제안을 받아 슬림 하포라는 이름을 채택했다.[7][12] 테네시주 내슈빌에 본사를 둔 엑셀로 레코드에서 발매된 그의 첫 솔로 음반은 "I'm a King Bee"였으며, 1957년에는 "I Got Love If You Want It"과 커플링되었다. 하포는 라이브 쇼에서는 기타를 연주했지만, 녹음할 때는 보통 다른 기타리스트를 사용했다. 이 음반은 지역적으로 히트를 쳤지만, 전국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다.[5] 1961년 초, 첫 차트 히트곡인 "Rainin' in My Heart"를 냈다. 이 음반은 ''빌보드''의 R&B 차트에서 17위, 핫 100에서 34위에 올랐으며,[8] 곧 같은 이름의 앨범과 추가 싱글이 이어졌다. 그의 많은 노래는 아내인 러벨 무어와 공동 작곡했지만, 그녀는 크레딧을 받지 못했다.[6][7]
전업 음악가는 아니었던 하포는 1960년대에 트럭 운송 사업을 소유했다.[6] 작가 라이언 휘티에 따르면, "하포와 그의 밴드는 끊임없이 투어를 하고 가능한 한 많이 연주해야 했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시기가 많았고, 그들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는 것을 모아야 했다."라고 한다.[3] 1964년까지 그의 노래 중 몇 곡이 영국에서 앨범과 싱글로 발매되었고, 영국의 록 밴드들은 그의 노래 버전을 초기 레퍼토리에 포함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머지비트/R&B 그룹인 더 무디 블루스는 슬림의 "Moody Blues"라는 연주곡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6]
1966년에는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는데, 주로 기악곡인 "Baby Scratch My Back"이 R&B 차트에서 1위, 더 넓은 차트에서 16위에 올랐다. 하포는 그것을 "나를 위한 록앤롤 시도"라고 묘사했으며, 밀러가 다시 프로듀싱을 맡았다.[15] 그러나 밀러와의 의견 불일치와 음반 회사의 소유권 변경으로 인해 "Tip On In"과 "Tee-Ni-Nee-Ni-Nu" 두 곡이 새로운 프로듀서 로버트 홈즈와 함께 내슈빌에서 녹음되었다.[5] 두 곡 모두 R&B 차트에 올랐다.[8]
그는 1968년에 라이트닝 슬림을 투어 밴드에 합류시켰고,[5] 1960년대 후반에 광범위하게 투어를 다니며 주로 록 관객에게 다가갔다. 1970년, 갑작스러운 심장 마비로 배턴루지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그는 이미 유럽 투어와 녹음 세션을 계획한 상태였다.[17] 그는 루이지애나주 포트앨런에 있는 멀라토 벤드 묘지에 묻혔다.[16]
3. 음악적 영향과 유산
음악 평론가 큐브 코다는 그의 노래가 "대서양 양쪽의 백인 아티스트, 롤링 스톤스, 야드버즈, 킨크스, 러브 스컬프처의 데이브 에드먼즈, 뎀의 밴 모리슨, 선 로커빌리 가수 워렌 스미스, 행크 윌리엄스 주니어, 더 패뷸러스 썬더버즈를 포함하여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했다."라고 평가했다.[2] 슬림 하포 뮤직 어워드는 매년 배턴루지에서 열리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상금은 "학교 음악" 보급 프로그램에 기부된다.[9]
영국 블루스 학자 마틴 호킨스가 쓴 전기 "슬림 하포: 블루스 킹 비 오브 배턴루지"가 2006년에 출판되었다. ''롤링 스톤'' 잡지의 데이비드 프리케는 이 책을 "열정적이고 백과사전적인 성공으로, 수수께끼 같은 하포에게 생명을 불어넣고, 풍부한 루이지애나 중부 블루스 현장에서 필모어 이스트 공연에 이르기까지 그의 놀라운 주류 진출을 추적하며, 깊이 있는 현지 조사와 가수의 동료, 사이드맨 및 음반 사업 관계자들의 상세한 초상화를 제공한다."라고 평가했다.[10]
슬림 하포가 끼친 영향은 블루스에만 그치지 않고 록 아티스트에게도 미쳤다. 특히 롤링 스톤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17], 「I'm A King Bee」, 「Shake Your Hips」 두 곡을 커버했다. 그 외 커버곡으로는 야드버즈의 「Baby Scratch My Back」, 알렉스 칠튼의 「Tee-Ni-Nee-Ni-Nu」, 닐 영의 「Rainin' In My Heart」, 프리티 things, 킨크스의 「Got Love If You Want It」 등이 있다.
4. 대한민국 대중음악에 끼친 영향
슬림 하포는 블루스뿐만 아니라 록 음악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롤링 스톤스는 그의 곡 「I'm A King Bee」와 「Shake Your Hips」를 커버했다.[17] 야드버즈는 「Baby Scratch My Back」, 알렉스 칠튼은 「Tee-Ni-Nee-Ni-Nu」, 닐 영은 「Rainin' In My Heart」를 커버했으며, 프리티 things와 킨크스는 「Got Love If You Want It」을 커버했다.
5. 음반 목록
- 1957 - "I'm a King Bee" / "I Got Love if You Want It" (Excello 2113)
- 1958 - "Wondering and Worryin'" / "Strange Love" (Excello 2138)
- 1959 - "You'll Be Sorry One Day" / "One More Day" (Excello 2162)
- 1960 - "Buzz Me Babe" / "Late Last Night" (Excello 2171)
- 1960 - "Blues Hang-Over" / "What a Dream" (Excello 2184)
- 1961 - "Rainin' in My Heart" / "Don't Start Cryin' Now" (Excello 2194) - R&B 차트 17위, 미국 팝 차트 34위[8]
- 1963 - "I Love the Life I'm Living" / "Buzzin'" (Excello 2239)
- 1964 - "I Need Money (Keep Your Alibis)" / "My Little Queen Bee (Got a Brand New King)" (Excello 2246)
- 1964 - "Still Rainin' in My Heart" / "We're Two of a Kind" (Excello 2253)
- 1964 - "Sittin' Here Wondering" / "What's Goin' on Baby" (Excello 2261)
- 1965 - "Harpo's Blues" / "Please Don't Turn Me Down" (Excello 2265)
- 1966 - "Baby Scratch My Back" / "I'm Gonna Miss You (Like The Devil)" (Excello 2273) - R&B 차트 1위, 미국 팝 차트 16위[8]
- 1966 - "Shake Your Hips" / "Midnight Blues" (Excello 2278)
- 1966 - "I'm Your Bread Maker, Baby" / "Loving You (The Way I Do)" (Excello 2282)
- 1967 - "Tip On In (Part 1)" / "Tip On In (Part 2)" (Excello 2285) - R&B 차트 37위[8]
- 1967 - "I'm Gonna Keep What I've Got" / "I've Got To Be With You Tonight" (Excello 2289)
- 1968 - "Te-Ni-Nee-Ni-Nu" / "Mailbox Blues" (Excello 2294) - R&B 차트 36위[8]
- 1968 - "Mohair Sam" / "I Just Can't Leave You" (Excello 2301)
- 1969 - "That's Why I Love You" / "Just For You" (Excello 2305)
- 1969 - "Folsom Prison Blues" / "Mutual Friend" (Excello 2306)
- 1969 - "I've Got My Finger on Your Trigger" / "The Price Is Too High" (Excello 2309)
- 1970 - "Rainin' in My Heart" (재발매, 오버더빙) / "Jody Man" (Excello 2316)
- 1961년 『''Rainin' in My Heart''』 (Excello)
- 1966년 『''Baby Scratch My Back''』 (Excello)
- 1968년 『''Tip on In''』 (Excello)
- 1969년 『''The Best of Slim Harpo''』 (Excello)
- 1970년 『''Slim Harpo Knew the Blues''』 (Excello)
5. 1. 정규 앨범
- 1960년 - ''Tunes to Be Remembered''(한 곡; 여러 아티스트 - Excello LPS-8001)
- 1961년 - ''Rainin' in My Heart''(Excello LPS-8003) (CD 발매: Hip-O/MCA 40135, 1998 - 보너스 트랙 3곡 포함)
- 1963년 - ''Authentic R & B''(세 곡; 여러 아티스트 - Stateside SL-10068)
- 1964년 - ''The Real R & B''(세 곡; 여러 아티스트 - Stateside SL-10112)
- 1964년 - ''A Long Drink of Blues''(여섯 곡...사이드 2 전체; 라이트닌 슬림과 공유하는 컴필레이션 앨범 - Stateside SL-10135)
- 1966년 - ''Baby Scratch My Back''(Excello LPS-8005)
- 1968년 - ''Tip On In''(Excello LPS-8008)
- 1968년 - ''Saturday Night Function: Rural Blues, Vol. 2''(두 곡; 여러 아티스트 - Imperial LM-94001)
- 1969년 - ''The Best of Slim Harpo''(컴필레이션 앨범 - Excello LPS-8010)
- 1969년 - ''The Real Blues''(한 곡; 여러 아티스트 - Excello LPS-8011)
- 1970년 - ''Slim Harpo Knew the Blues''(Excello LPS-8013)
- 1970년 - ''He Knew the Blues''(Blue Horizon 7-63854; "Shake Your Hips"와 "I'm Your Bread Maker Baby" 두 곡이 추가된 Excello LPS-8013의 영국 버전)
- 1971년 - ''Trigger Finger''(Blue Horizon/Polydor 2431 013)
- 1972년 - ''The Excello Story''(세 곡; 여러 아티스트 - Excello LPS-8025) 2LP
- 1976년 - ''Slim Harpo...Knew the Blues (Vol. 2)''(Excello/Nashboro 28030) 2LP/25곡 앨범. LPS-8008, LPS-8013, 싱글 4곡: Excello 2301, 2305, 2306, 2309; 그리고 미발표 트랙 "Stick Your Chest Out Baby" 포함.
- 1978년 - ''Slim Harpo...He Knew the Blues''(Sonet SNTF-769) 싱글 LP/Excello 28030의 14곡 샘플러.
5. 2. 컴필레이션 앨범
- 1989년 - ''I'm a King Bee'' (플라이라이트 FLYCD-05)
- 1989년 - ''The Best of Slim Harpo (The Original King Bee)'' (라이노 R2-70169)
- 1989년 - ''The Best of Slim Harpo'' (Rhino)
- 1993년 - ''The Best of Slim Harpo'' (에이스 레코드 CDCHM-410)
- 1994년 - ''I'm a King Bee (The Early Swamp Blues Classics)'' (Ace CDCHD-510)
- 1995년 - ''Hip Shakin': The Excello Collection'' (Excello/AVI 2001) 2CD
- 1995년 - ''Shake Your Hips'' (Ace CDCHD-558) 1968년 임페리얼에서 하포가 녹음한 4곡 포함.
- 1996년 - ''Tip On In'' (Ace CDCHD-606)
- 1996년 - ''The Scratch: Rare and Unissued, Volume 1'' (Excello/AVI 3015)
- 1997년 - ''Sting It Then!'' (Ace CDCHD-658) 참고: 1961년 라이브 녹음.
- 1997년 - ''The Best of Slim Harpo'' (힙-O/MCA 40072)
- 1997년 - ''The Complete Excello Recordings'' (P-Vine)
- 2003년 - ''The Excello Singles Anthology'' (Hip-O/UMe B0000583 02) 2CD
- 2011년 - ''Slim Harpo Rocks'' (베어 패밀리 BCD-17129)
- 2015년 - ''Buzzin' the Blues: The Complete Slim Harpo'' (Bear Family BCD-17339) 5-CD 박스 세트
- 2015년 - ''I'm A King Bee 1957-1961'' (재스민 #JASMCD-3047)
- 2015년 - ''Buzz Me Babe: Excello Sides 1957-1962'' (Soul Jam #600866)
참조
[1]
간행물
Slim Harpo at 100
Blues & Rhythm
2024-06
[2]
웹사이트
Slim Harpo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15-10-06
[3]
웹사이트
Requiem for Slim Harpo
http://www.myneworle[...]
2010-01-01
[4]
서적
The Blues: From Robert Johnson to Robert Cray
Carlton Books
[5]
서적
South to Louisiana: The Music of the Cajun Bayous
https://books.google[...]
Pelican
2015-10-06
[6]
서적
Louisiana Rocks!: The True Genesis of Rock and Roll
https://books.google[...]
Pelican
2015-10-06
[7]
백과사전
Harpo, Sli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06
[8]
서적
Top R&B/Hip-Hop Singles: 1942–1995
Record Research
[9]
웹사이트
Slim Harpo Music Awards
http://www.louisiana[...]
2014-03-19
[10]
잡지
10 Best Music Books of 2016
https://www.rollings[...]
2017-08-14
[11]
웹사이트
Slim Harpo: The Excello Singles Anthology Review
http://www.allmusic.[...]
2014-03-27
[12]
Allmusic
Slim Harpo: Allmusic biography
http://www.allmusic.[...]
[13]
문서
生年月日は1924年2月11日とする説もある。
[14]
문서
Liner notes to The Best of Slim Harpo (Rhino) by Todd Everett
[15]
Allmusic
Allmusic Awards: Slim Harpo
http://www.allmusic.[...]
[16]
Blues
Blues Online: Slim Harpo
http://physics.lunet[...]
[17]
Rolling Stone
Slim Harpo: Rolling Stone
http://www.rollingst[...]
[18]
웹인용
Slim HarpoBiography
https://www.allmusic[...]
2015-10-06
[19]
웹인용
Requiem for Slim Harpo
http://www.myneworle[...]
201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